페이커 군면제 가능할까? 아시안게임 e스포츠 게임 종목, 군대 면제 기준
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이 2023년 9월에 개최한다.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연기되어 명칭은 ‘2022’ 이지만 2023년에 열린다.
내가 이번 아시안게임에 주목하는 가장 큰 이유는 ‘e스포츠’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기 때문이다.
정식 종목이라는 이야기는 아직 군대에 가지 않은 선수들은 군면제의 기회가 열려있다는 것이고, e스포츠도 그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.
군면제는 법적으로 정확히 어떻게 될까?
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e스포츠 종목
- 리그오브레전드
- 피파온라인 4
-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아시안게임 버전
- 스트리트파이터 5
- 도타 2
- 몽삼2
- 왕자영요
- 하스스톤 (블리자드가 중국에 서비스하지 않기 때문에 제외되었음)
리그오브레전드 대표팀 명단
- 감독 - 김정균
- 탑 - 최우제(Zeus)
- 정글 - 서진혁(Kanavi)
- 미드 - 정지훈(Chovy), 이상혁(Faker)
- 원딜 - 박재혁(Ruler)
- 서폿 - 류민석(Keria)
올림픽, 아시안게임 등 군면제 (예술·체육요원 편입)
‘병역법’상 예술·체육요원 자격을 갖는 사람을 말한다. 해당 자격은 병역법 기준에 따른다.
대체복무 형태로 볼 수 있으며 기간은 2년 10개월이다.
복무기간 동안 에는 문화체육부장관의 지휘 및 감독을 받으며 면제받은 분야에 종사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해외에 나갈 때는 병무청에 서류도 제출해야 한다.
월드컵 4강이니, WBC우승이니 어수선할 때가 많았지만 군면제 자격은 아래와 같다.
군면제 기준 <병역법 시행령 제68조 11(예술·체육요원)>
- 올림픽 3위 이상(동메달 이상)
- 아시안게임 1위 입상자(금메달)
- 국제예술경연대회 경쟁 부분 2위 이상 (국제 바이올린, 피아노, 발레 콩쿠르 등 법으로 정해진 대회에 해당함)
- 국내예술경연대회 1위 (국악 등 국제대회 없는 분야)
- 국가무형문화재 5년 이상 전수교육받은 사람
프로게이머 T1 페이커 선수 군면제?
페이커는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못 따도 군대는 면제이다.
공식적인 발표는 아니며 고등학교 중퇴(중졸)를 했고, 2022년 3년 계약 연장 등의 상황을 볼 때,
2021년 학력 사유 보충역이 폐지되기 전에 해당 기준으로 군면제가 이미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.
마치며
난 리그오브레전드를 해본 정도이고 엄밀히 말하면 스타크래프트 세대이다. 그래도 ‘페이커’가 결승에 갔는지, 롤드컵에서 한국팀이 우승을 했는지 항상 소식에 귀 기울이며 지낸다.
아시안게임에서 즐길 거리가 늘어서 기대가 크다.
개인적으로는 2024 파리 올림픽에서도 e스포츠를 볼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.